교육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5단계 생식기(성기기)

happy-ssaem 2022. 5. 26. 07:53
반응형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마지막 5단계 생식기 그리고 심리 성적 발달 단계에 대한 비판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마지막 5단계 생식기라고 하는데 생식기는 12세 이후로 이차 성장이 나타나면서 잠복되었던 성적 에너지가 무의식에서 의식의 세계로 나오는 시기로서 성적인 본능이 다시 활발해 집 닌다. 오늘은 생식기에 대해 알아보고 심리 성적 발달 단계에 대한 비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리성적 발달단계 5단계 생식기

생식기는 제2차 성장이 일어나는 12세 이후를 말하며 이 시기의 청소년들은 잠복기의 안정성은 오래가지 못하고 곧 이들이 사춘기에 들어서기 때문입니다. 사춘기가 시작되면 성적 에너지가 다시 분출하는데 남근기와 다른 점은 이들은 그러한 감정들을 현실에서 수행해 볼 만큼 성장했다는 점입니다. 이들은 이제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성적 파트너를 발견하려 하며 아버지와 으 경쟁심 역시 버리고 아버지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어 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두드러지게 표현되는 시기가 바로 청소년기입니다.

 

사실 생식기에 대한 프로이트의 언급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청소년기에 대해서는 오히려 프로이트의 딸인 안나 프로이트가 아버지보다 더 자세히 언급하였습니다. 그녀는 청소년기의 방황과 혼란을 프로이트의 오이디푸스적 감정의 부활을 통해 설명하려 했으며 이 시기 청소년들의 행동이 정상적이며 자신이 독립하고자 하는 정신분석학적 이유에서 비롯된다고 보았습니다. 청소년기에 대한 안나 프로이트의 언급은 그녀와 같이 정신분석학을 통해 교류했던 에릭슨의 청소년기 자아 정체감 이론을 만드는데 중요한 공헌을 했습니다.

심리 성적 발달 단계에 대한 비판

프로이트의 이론과 그의 심리 성적 발달 이론은 수많은 평가와 비판을 받아 왔습니다. 과학적 심리학을 추구하는 심리학자들은 그의 이론이 과학적 검증력이 없다는 이유에서 정신분석 학파의 학자들은 그가 인간의 매우 한정된 측면만 보았다는 점을 근거로 그를 비판했습니다. 사실 프로이트는 금세기의 가장 위대한 사상가 중 하나이며 동시에 어느 이론가들보다 더 많은 공격을 받았던 사람이기도 합니다.

 

프로이트 이론이 프로이트가 살던 시대의 세기말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며 이렇기 때문에 그의 이론이 명백한 문화적 한계가 있다는 비판은 분명 설득력이 있습니다. 프로이트 이론의 문화적 편파성 또한 여성에 대한 문화적 편견으로도 이어지며 여성 심리학의 선구자적 역할을 했던 클라라 톰슨은 프로이트의 여성에 대한 견해가 빅토리아 시대의 사고를 반영한다고 신랄하게 공격했으며 여아들의 엘렉트라 콤플렉스는 단지 추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간이 아닌 타인과의 상호작용 즉 어머니와 아동 간의 대상관계를 통해 보아야 한다는 시각도 제시되었습니다.

 

프로이트 이후 과학적 심리학이 대두된 후 심리학에서 프로이트가 비판을 받는 가장 큰 이유는 그의 이론이 불투명하고 검증 불가능하고 사후약방문 식리 아는 점일 것입니다. 이 때문에 그의 이론은 마치 경마가 끈난 후에 특정한 말에 돈을 거는 것과 같다와 같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의 주장은 도한 현대의 경험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지 못하는 경우도 허다했습니다. 프로이트는 초기 애착 관계가 구강 만족에서 형성된다고 보았으나 동물 실험과 인간 연구의 결과는 구강 만족 자체가 애착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며 오히려 접촉 위안과 같은 요소가 더 중요함을 보여 주었습니다.

 

도덕성 발달에 대해서도 많은 비판이 있었습니다. 프로이트는 심리 성적 발달 단계의 남근기 동안 부모와의 갈등에서 야기되는 죄책감 및 부모로부터 거절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부모의 가치를 내면화하여 도덕성 즉 초자아를 형성한다고 보았으며 이 과정에서 특히 동성 부모의 가치 내면화는 성 역할 발달에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경험적 연구들은 이러한 주장을 별로 지지하지 않습니다. 비록 부모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과 죄책감이 도덕적 행동을 예측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부모와의 긍정적인 애착 관계나 감정이입과 같은 긍정적 정서의 역할은 아동의 도덕적 행동을 예측하는 데 훨씬 중요합니다. 오히려 심한 죄책감이 있으면 타인보다는 자신에게 집중하게 되어 부정적인 대인 관계를 형성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