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3단계 남근기

happy-ssaem 2022. 5. 25. 15:17
반응형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3세~5세 아이 남근기에 대해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리비도가 일생에 걸쳐 정해진 순서에 따라 신체 각기 다른 부위에 위치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성격 발달단계를 구분했으며 남근기는 심리성적 발달단계 중 세 번째 단계이며 약 3세에서 5세까지 지속된다고 하였습니다. 오늘은 세 번째 단계인 남근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심리성적 발달단계에서의 남근기란?

남근기는 심리성적 발달단계 중 세 번째 단계입니다. 이때 정신 에너지인 리비도가 항문에서 성기로 이동하는데 이 과정에서 성기는 사춘기에 분비되는 호르몬과는 상관없이 고조된 성적 민감성을 나타냅니다.

이 단계의 아동들은 성기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출산이나 성에 관한 질문을 많이 합니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남근기 갈등은 어린 아동이 해결해야 하는 마지막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갈등이라고 했습니다. 이 갈등에는 이성 부모를 소유하고자 하는 무의식적 바람과 동시에 동성 부모를 없애고자 하는 무의식적 소망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남근기 때 남자아이가 어머니의 애정을 독점하려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인 아버지에게 경쟁심 적대감 분노 두려움 존경심 애정 등 복잡한 심정 속에서 경험하는 갈등이 생기며 여자아이는 아버지의 애정을 독점하려는 엘렉트라 콤플렉스가 생기게 됩니다.

남근형 성격

남근기에 부분적으로 고착된 사람들은 남근형 성격을 가지게 됩니다. 이때 고착이란 연령의 변화에 따라 다음 발달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이전 단계로 넘어가는 퇴행이 지속되어 그 단계에 머무는 것을 말합니다. 남근기 성격은 무모하고 단호하고 자기 확신적이며 지나친 자부심이나 지나친 자기만족 등 자기도취적 요소도 있습니다. 남근기 성격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한 경우이며 지금도 거세 불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친밀함과 사랑을 두려워하며 대게 용감하게 보이려 하고 과시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거세 불안에 대한 방어로 작용합니다.

 

이때 성별에 따라 남근형 성격이 발현되는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남근기에 고착된 남성은 무모하고 잘난 체하고 경박하게 행동하며 이들은 항상 자신의 남성성과 정력을 과시하려 하고 자신이 진짜 남자임을 남들에게 증명하려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을 끊임없이 정복해 나가려고 합니다.

남근기와 이상심리

프로이트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해결이 성격발달에 매우 중요하다고 보았습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성공적으로 해결되어야 정상적인 성인 인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성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면 정신병리를 야 기하며 아동의 도덕 원리가 남근기에서의 부모와의 동일시를 통해 발달하기 때문에 남근기에 고착된 사람들은 많은 정신병리를 겪을 수 있습니다.

 

공포증이란 특수한 상황이나 대상에게 심한 불안과 공포를 느껴 이러한 상화이나 대상을 회피하게 되는 장애를 말하며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무의식적인 갈등에 기인한 불안이 방어기제에 의해 특정한 외부 대상에 투사되거나 대치되었을 때 특정 공포증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연극성 성격장애를 지닌 남성은 어린 시절 어머 미로부터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대신 아버지에게 애정을 구하며 아버지가 없거나 아버지로부터 애정을 얻지 못하면 어머니와의 동일시를 통해 수동적으로 여성적인 정체감을 발달시키거나 여성성에 대한 불안을 회피하기 위해 과도한 남성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남성은 이러한 두 가지 양상의 연극성 성격장애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프로이트가 말하는 남근기

프로이트는 성격의 발달단계를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로 구분하였으며 남근기는 이 중에서 세 번째 단계에 해당합니다. 프로이트는 남근기에 대해 성적 본능 에너지인 리비도가 항문에서 남근으로 이동하는 시기라고 설명하며 이 단계의 아도들은 생식기로 가기 전 무의식적인 성적 민감성을 경험하는데 이 과정에서 아동들은 자신과 성별이 다른 이성의 부모에게 성적 애정의 감정을 경하는데 이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라고 했습니다. 아동들은 자신을 동성의 부모와 동일시함으로써 이러한 콤플렉스를 해결합니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성격의 발달단계가 연령에 따라 변한다고 제안했는데, 때로는 연령 변화에 따라 다음 발달단계로 넘어가지 못하고 이전 단계로 넘어가 그 단계에 계속 머물게 된다고 합니다. 이를 고착이라고 하며 남근기에 고착된 사람들은 대개 자신의 용감함을 과시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남근기에 고착된 사람들은 정상적인 인격이 형성되기 힘들어 여러 정신병리를 겪을 수 있습니다. 정신분석적 입장에서는 공포증 전환장애 연극성 성격장애 등이 남근기에 경험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잘 해결하지 못한 것에서 기인한다고 설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