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용어 초자아(superego)
자아(ego)가 현실의 원리에 의해서 지배됨에 반하여 초자아(superego)는 도덕의 원리에 의해서 지배됩니다. 인간의 공격적 욕구 또는 파괴적 본능은 초자아에서 발생된 죄책감에 의해서 통제되며 죄책감은 나쁜 행동을 함으로 인해 생기게 될 애정의 상실이나 벌에 대한 두려움에서 기인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오늘은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용어 중 초자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이트 이론 초자아(superego)
상위 자아(上位自我)라고도 불리는 초자아(superego)는 개인이 성장하는 동안 부모에게 영향을 받은 전통적 가치관, 사회규범과 이상, 그리고 도덕과 양심이 자리 잡고 있는 부분입니다. 초자아는 현실보다는 이상을 그리고 쾌락보다는 완벽을 추구하는데 도덕이나 가치에 위해되는 원초아의 본능적 억제하고 자아가 현실적인 목표 대신에 도덕적이고 이상적인 목표를 추구하도록 만듭니다. 도덕 원리 혹은 당위 원리에 따르며 무엇이 옳고 그른지 또 어떤 것을 해야 하고 어떤 것을 하지 말아야 하는지 등을 판단합니다.
프로이트 이론 초자아(superego)가 가지는 두 가지 하위 체계
양심 - 잘못된 행동에 대해 처벌이나 비난을 받는 경험에서 생기는 죄책감이며 본능적인 욕구를 억제하고 충동이 바람직한 형태로 표출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자아 이상 - 옳은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보상을 받는 경험으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한 행동 규범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자아 이상이 형성되는 데에는 세 가지 심리 표상이 작용합니다. 첫째 존경스럽고 전지전능한 부모의 표상입니다. 둘째 부모나 그 외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거나 칭찬받은 경험이 토대가 되어 형성된 이상적인 자기상입니다. 셋째 중요한 사람들과 이상적인 관계를 맺었던 관계 그 자체입니다.
이러한 세 가지 심리 표상이 혼합되어 자아이상을 형성합니다. 자아이상을 따라 생활하지 못했다고 여길 때 수치심을 느끼며 양심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다고 여길 때에는 죄책감을 느낍니다. 지나치게 강한 초자아는 행동을 위축시키고 긴장이나 불안을 가중시킬 수 있으며 죄책감 우울 열등감에 사로잡히게 합니다.
프로이트의 자아이상(ego ideal)과 초자아(superego)의 갈등
모든 사람은 자아 이상과 초자아의 갈등 속에서 살아갑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자아 이상이 이길 경우도 있고 초자아가 자아이상을 억제할 때도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정상적이라고 보는 정신 상태는 이러한 자아이상과 초자아가 적절히 타협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바로 자아이상이 점진적인 길을 택하는 경우인 것이며 자아이상이 항상 초자아의 억제를 뿌리치고 이길 경우는 비현실적인 행동을 보이기 쉽습니다. 예를 들면 변심한 애인을 찾아가 행패를 부리고 모든 일이 뜻대로 안 될 경우 자기의 이상에 집착을 보여 현실에서 용납될 수 없는 범죄적 행위도 서슴지 않습니다.
프로이트가 말하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초자아(superego)의 관계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결과 초자아(superego)가 형성된다고 보았습니다. 남아의 경우 어머니를 사랑하게 되면서 아버지에 대한 살해 욕구와 거세 불안이 유발되는데 그 결과 남아는 이성의 부모에 대한 근친상간적 소망을 포기하고 동성의 부모인 아버지와 동일시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남아는 아버지의 도덕적 가치관을 수용하여 초자아를 형성해 나갑니다. 성격구조 안에서 초자아의 발달이 미약하여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의식이 부족한 상태를 초자아(superego) 결손(superego lacunae)이라고 합니다. 초자아(superego)는 욕동이 만족되거나 포기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수용될 수 있을 만한 방법을 규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양심과 자기 이상을 포함하여 욕동으로 동기화된 비수용적인 행동을 제한하며 초자아가 건강하게 형성되지 못한 개인은 비양심적이고 반사회적인 행동을 하게 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2단계 미숙한 방어기제 (0) | 2022.05.23 |
---|---|
프로이트 방어기제 뜻과 4가지 종류 중 하나인 병리적 기제 (0) | 2022.05.22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용어 중 자아(ego)에 대해 (0) | 2022.05.22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용어 중 원초아에 대해 (0) | 2022.05.21 |
엘렉트라 콤플렉스 - 여자아이 나 아빠랑 결혼할래!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