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프로이트 방어기제 뜻과 4가지 종류 중 하나인 병리적 기제

happy-ssaem 2022. 5. 22. 17:40
반응형

프로이트 방어기제의 뜻과 방어기제 4단계 중 1단계

프로이트는 인간은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가 있다고 했습니다. 자아인 ego는 원초아와 초자아 욕구 사이를 조정하는 현실적인 역할을 하며 원초아의 욕구가 강해지면 불안감을 느끼게 되면 이것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방어기제입니다. 오늘은 프로이트 방어기제의 뜻과 종류 4단계 중 1단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어기제의 뜻

오스트리아의 아동 정신분석학자 안나 프로이트가 아버지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업적을 정리하고 구체화하여 제시한 자아 적응 이론과 그것이 발전형입니다. 마음의 평정을 깨트리는 사건들이 내적 혹은 외적으로 발생할 때 발생한 불안감은 초자아를 위협하게 되며 이때 자아가 불안을 처리하고 마음의 평정을 다시 회복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방어기제이며 초자아의 아상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 아니라 자아가 초자아와 원초아의 요구를 타협시키는 것이 방어기제입니다.

방어기제에 대한 오해

가장 흔한 오해 중 하나는 의지가 부족한 나약한 사람들이 자기 합리화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겁한 것으로 인간의 내적 성숙에 방해되는 것이라는 해석입니다. 그러나 인간의 정신력에는 한계가 있으며 막대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이것을 사용하여 천천히 상처에서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건강한 방식입니다. 만일 스트레스 상황을 완충제 없이 정면으로 직면한다면 그 피해는 막대할 것입니다. 관건은 사회적으로 용납 가능한 방어기제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방어기제의 분류

베일런트에 따르면 개인의 성숙도는 자아의 강도를 반영할 뿐만 아니라 삶에 대한 적응성 그리고 그 사람의 웰빙을 ㅖ측한다고 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방어 기제가 낮은 수준으로 평가된 사람들은 실제로 우울증 발병률에서도 비례 관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방어기제의 종류

베일런트는 방어기제의 성숙도를 4단계로 나누었습니다. 단계가 올라갈수록 더욱 성숙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1단계 - 병리적인 방어기제

1. 부정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외부의 실재나 사건을 아예 인정하려 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외부의 자극을 부정한 것이며 억압과 함께 가장 원시적이고 질 낮은 메커니즘으로 일컬어지며 주로 어린이나 정신적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예시

  1. 불치병에 걸린 환자의 경우 그럴 리 없어 의사가 잘못 진단한 게 분명해라고 생각합니다.
  2. 가족을 잃은 사람들 의 경우 이건 꿈이거나 분명 어딘가에 살아 있을 거야라고 생각합니다.
  3. 전쟁이 발생한 나라의 경우 뉴스에 나온 말은 모두 거짓말이야 밖은 안전할 거야라고 생각합니다.

2. 분리

자기와 남들의 이미지 자기와 남들에 대한 태도를 전적으로 좋은 것 또는 전적으로 나쁜 것이라는 두 개의 상반된 것으로 분리하는 것입니다. 즉 흑백논리로도 대표될 수 있습니다. 유아기 중 분리-개별 화기에 쓰는 방어기제입니다. 경계선 인격장애 이기도 하며 이런 경우 복합적이고 애매한 감정을 잘 느끼지 못합니다.

예시

  1. 부모에게 칭찬을 받을 경우 나를 위해주는 사람은 부모님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2. 잘못된 행동으로 혼날 경우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나를 억압하다니 이렇게 생각합니다.
  3. 친구들의 모습을 보며 내 주변에는 천사 아니면 악마가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3. 기타 병리적인 방어기제

  1. 전환: 심리적으로 느끼는 갈등이나 어려움 스트레스를 신체적으로 나타내는 현상을 말하며 일시적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거나 경련가 발생하고 판단력이 흐려집니다. 예를 들면, 마비, 경련, 일시적 맹목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2. 왜곡: 마음에 들지 않는 상황을 조작해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 내는 것을 말하기 때문에 실제와는 다른 의미로 받아들이고 이해하게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