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 방어기제 3단계 신경증적 방어기제
프로이트 방어기제 4단계는 병리적인 방어기제, 미성숙한 방어기제, 신경증적 방어기제, 성숙한 방어기제 중 오늘은 3단계 신경증적 방어기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방어기제 3단계 신경증적 방어기제
1. 합리화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발현되었을 때 초자아가 반발하지 않도록 그러 싸하게 무마하려는 것입니다. 원초아의 파괴적인 충동에 순간적으로 암도 당하며 곧바로 초자아의 폭풍 태클이 들어오고 이는 극심한 불안과 심적 고통을 초래합니다. 여기서 자아는 초자아 가는 난리 치는 것을 막기 위해 원초아의 충동으로 인해 발현된 사태를 어떻게든 해명해야 할 처지에 놓이게 된다. 심하지 않으면 합리화 또한 위기 해결 능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 자기 합리화라고 하면 이보다는 self-justification의 의미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1. 화가 나서 길바닥의 돌을 걷어찬 후, 돌이 이런 데 떨어져 있으면 위험하니 자신이 치워준 셈이라고 둘러대는 경우입니다.
2. 분노에 차 상대를 폭행한 후, 자신은 사람이 아닌 짐승을 손봐줬을 뿐이라고 되뇌는 경우입니다.
2. 반동 형성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표출되지 못하도록 정반대 형태의 충동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소위 "미운 놈 떡 하나 더 준다."는 ㄴ속담을 연상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정반대의 충동이 표출되면 어딘가 부자연스럽고 어색해 보인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5세 이전의 남자 어린이가 아버지에 대한 살해 욕망을 아버지의 가치체계의 내면화라는 결과로 바꿔놓는 이유가 바로 이 반동 협성이며, 이것은 일생 최초의 메커니즘으로서 초자아 생성의 배후에 존재합니다. 특히 강박장애 환자에게서 자주 나타납니다.
예시
1. 문란한 성 경험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을 갖고 있는 사람이 오히려 혼전순결 캠페인을 벌이는 경우입니다.
2. 자신의 잠재적 성 소수자 성향을 의식적 혹은 잠재의식적으로 느끼고 있지만, 그것을 거부하면서 생기는 부정적 감정을 같은 부류인 동성애자들에게 쏟아부으며 자신의 성적 지향을 숨기는 경우입니다.
3. 자신이 이성으로부터 인정받고 싶은 욕구를 부정하면서 오히려 이성 혐오에 감정을 쏟아붓는 경우이며 예로 일부 여성/남성들의 남성 혐오, 여성 혐오가 있습니다.
4. 만화 같은 취미생활을 동경하지만 주변의 시선이나 강박관념 때문에 해당 취미를 가진 타인을 "시간 낭비"라며 무시하는 경우입니다.
3. 억압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의 존재 자체를 거부하여 의식 속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무의식적으로 막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면 욕망을 잊으려 하는 것이며 이 역시 가장 유명한 메커니즘 중 하나이며 가장 원시적인 메커니즘 수준에 속하기도 하고 프로이트가 가장 관심을 갖고 연구했던 주제이기도 합니다. 무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억압의 존재는 현대 심리학의 관점에서 보자면 회의적이지만, 의식 차원에서의 게이트키핑인 사고 억제의 경우는 실제로 현대 심리학에서 꽤나 흥미로운 연구 거리가 되었습니다.
방어기제로써의 억압과 관련해 가장 잘 알려진 실험은 소위 "백곰 실험"이라 하여, "백곰을 생각하지 마세요. 혹시 생각나게 되면 버튼을 누르세요."로 지시하고 관찰하는 것입니다. 현대의 심리학자들은 반동 효과로 알려진 현상에 의해 오히려 그 잊어야 할 대상에 더욱 강박적으로 몰입하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이는 사고 억제가 그 대상을 잊도록 하는 게 아니라 사고의 흐름을 멈추게 함으로써 의식의 표면에 생각을 정체시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4. 퇴행
불안 상황에 처했을 때에 이전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로 돌아가려 하는 반응입니다
예시
어린아이가 새로 태어난 동생에게 관심이 쏟아지자 그 관심을 자신에게 돌리기 위해 아기처럼 행동하는 경우입니다.
5. 취소
초자아의 비난을 불러일으키는 자신의 행위에 대해 상징적 방법을 동원해 취소하려는 것입니다. 초자아의 비난이 가져오는 죄책감은 곧 원초아와의 심적 균형을 깨뜨려 불안을 가져오게 되고, 자아는 이 죄책감을 해소하기 위한 속죄를 기획하게 됩니다. 취소는 자신의 과거 행위에 대해서만 발동하지만 상상의 행위에 대해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역시 강박장애의 환자에게서 자주 보이게 됩니다.
예시
가까운 친구를 칼로 찌르는 꿈을 꾸고 일어난 뒤 그 친구에게 공연히 선물을 사 주는 경우입니다.
6. 전위(치환, 전치)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 자체는 표현하되, 초자아가 문제 삼지 않을 만큼 수용 가능한 목표로 전이하려는 것입니다. 방어기제 중에서 유명한 종류 중 하나로 "종로에서 뺨 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는 속담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내리 갈굼 역시 전위의 유명한 사례 중 하나 '전위' 대신 치환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예시
부모와 싸운 자녀가 자기 방 문을 쾅 닫거나 공연히 자기 강아지가 시끄럽다고 걷어차는 경우입니다.
7. 주지화
원초아의 위협적인 충동이 담긴 감정을 다른 생각들과 분리시키는 것입니다. 상황으로부터 감정을 분리하여 이성적으로 바라보는 것으로 자신의 감정을 해소 표현하지 못하고 지적으로 해석하고자 하는 것입니다. 본래는 유리라는 메커니즘의 한 형태입니다. 이 역시 문제가 되는 대상을 다른 생각들과 분리시키는 것인데 이 점 때문인지 거의 동일하게 쓰이는 듯합니다. 우울증이나 트라우마 등으로 심리적으로 불편함을 겪고 있는 사람이 심리학이나 정신의학 등의 내용을 찾아보고 공부하는 것 또한 주지화의 일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예시
집에 택배 기사를 가장한 도둑이 들어와 어머니가 다치고 귀중품을 모두 도난당했습니다. 집에 돌아와 이 광경을 목격한 아버지는 과학수사대나 탐정이라도 된 듯, 통증으로 신음하는 어머니에게 문을 제대로 잠그고 있었는지 택배 기사가 어떤 유니폼을 입었는지 탐문하고 경찰에게 제시할 피해 물품 목록을 정리했습니다. 현재의 상황에서 화를 내면 감정에 압도되어 버릴까 봐 의식에서 미리 감정을 차단하고 주지화라는 방어기제를 이용해서 이성만 과도하게 작동한 것입니다.
8. 기타 신경증적 방어기제
사회적 상하 비교는 자신보다 낮다고 생각하는 대상과 자신을 비교하고 스스로를 그들과 차별화함으로써 자신을 높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1단계 구강기 (0) | 2022.05.24 |
---|---|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4단계 성숙한 방어기제 (0) | 2022.05.24 |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2단계 미숙한 방어기제 (0) | 2022.05.23 |
프로이트 방어기제 뜻과 4가지 종류 중 하나인 병리적 기제 (0) | 2022.05.22 |
프로이트 정신분석학 용어 중 초자아(superego)에 대해 (0) | 2022.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