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1단계 구강기

happy-ssaem 2022. 5. 24. 21:31
반응형

프로이트 심리성적 발달단계 5단계 중 1단계 구강기

프로이트는 5~6세 이전 인생의 초기 경험이 성격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성격 형성에 중요한 몇 개의 발달단계를 제안하였습니다. 오늘은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5단계 중 첫 번째 단계인 구강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프로이트는 성적인 욕구이자 삶의 에너지인 리비도가 신체의 어느 부위를 통하여 만족되고 집중되어 있느냐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되는 심리성적 발달단계를 제시하였습니다. 프로이트는 아동이 어느 한 발달단계에서 성적 욕구가 지나치게 만족되거나 혹은 좌절되면 그 단계에 고착된다고 하였습니다.

고착은 건강하게 해결되지 못한 갈등으로 특정 발달단계의 특징을 보이는 행동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1단계 구강기

구강기로 불리는 시기는 출생부터 약 21개월까지입니다.

신생아가 쾌락을 느끼는 주요 기관은 구강(입)이며 입(입술)을 통해서 자신의 성적 에너지(리비도)를 방출합니다. 이 리비도는 그냥 두면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아기는 끊임없이 입을 통해 에너지를 해소합니다. 그래서 아기는 모든 물건을 입으로 가져가서 확인하며 자아가 발달되지 않은 원초아 시기라 위험한 물건이 뭔지 모르고 입에 가져가는 행위인 쾌락만 추구합니다.

 

구강기 때는 주로 젖을 물고 빨면서 본능을 해결하므로 양육자 즉 어머니의 보살핌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본능적으로 자기의 생존을 위해서 타인에게 의존하므로 이 시기 문제는 향후 의존과 관련된 성격적 이슈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의견이 분분하지만 모유를 너무 이르게 떼는 것도 장기간의 모유수유도 모두 강기 고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유식은 아기에게 첫 상실의 경험으로 쾌락의 한계를 가르치며 이유식 시작 개월 수는 나라마다 문화마다 다를 수 있지만 적어도 생후 6개월에는 시작합니다. 이유식을 먹기 시작하면서 젖을 조금씩 줄여나가는 과정을 통해 엄마로부터 조금씩 독립적이 되어갑니다. 이 구강기에는 상황에 따라 모유수유 젖병 수유 쪽쪽이 치발기 등을 적절하게 사용해서 아기와 구강 본능을 건강하게 해결해주고 정서적 긴장도를 낮춰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절한 충족

어머니가 적절하게 수유를 충족시켜주면 어머니에 대해 신뢰가 생기며 적절한 수유 입술을 통한 쾌감을 충족하면 세상을 신뢰하는 성격이 되는 것입니다. 적절한 수유는 자신감도 생기고 관대하고 신뢰감과 독립심을 발달하게 합니다.

불충족(결핍)

아기 시기에는 언어로 표현되지 않고 지나가므로 부정적인 경험은 성인이 되어서도 무의식 속에 남게 됩니다. 어머니의 양육 거부, 수유 빨리 뗌, 수유 시간 조기 축소, 부모와의 신뢰감 형성 부족 등이 원인이 됩니다. 구강 후기의 깨물기 단계에서 욕구 좌절을 경험하면 깨무는 등 공격성을 보이기도 합니다.

과잉 충족(방임)

부모가 아기를 방임하여 적절한 보살핌을 해주지 않거나, 아기가 혼자 구강 충족을 과몰입하도록 내버려 두거나 장기간의 모유수유도 고착화의 원인이라고 합니다.

구강기 아기 육아 시 갈등 상황

양육자에게 덜 의존하게 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젖떼기, 젖병 떼기, 쪽쪽이 떼기, 손가락 빠는 아기, 깨무는 아기, 이유식 거부하는 아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고착화

아기의 욕구가 충분히 충족되는 경우 정상적으로 다음 단계의 발달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시기 발달에 문제가 생겨서 고착화가 되거나 트라우마로 인한 퇴행이 이루어지면 이 문제가 성인이 되어서도 남아있어 원초적인 구강기적 인격을 형성합니다. 물론 다음 발달 단계로 진행할 수는 있지만 이전 단계 발달 과업은 해결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것입니다. 욕구의 결핍과 과잉 충족 모두 고착화를 시킨다고 합니다.

구강기적 인격

구강기 초기 고착화: 타인을 쉽게 믿고 의지한다든가 수다 또는 흡연, 키스, 과음, 과식 등 입과 관련된 것에 집착하는 구강 협응적 성격을 나타나게 합니다.

구강기 후기 고착화:타인을 괴롭히며 공격적인 언행, 손톱 등을 마구 깨물기와 같은 구가 가학적 성격을 보이게 됩니다.

구강기 결핍을 경험하면 공격적, 가학적, 빈정댐, 비판적 성격이 되고 구강기 과다 충족을 경험하게 되면 지나치게 낙관적이고 타인에 의존하는 성격이 됩니다.

일반적인 고착화 증상

손톱 물어뜯기, 과도하게 물고 씹고 빠는 행위, 물건 핥기, 이 갈기, 엄지 손가락 빨기, 비식품 품목 먹으려고 하는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반응형